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edirectService
- 7879
- Loki 로그
- 애자일 싫타
- pinpoint 2.5.3
- save/update
- Armeria
- 오블완
- nGinder
- jar 배포
-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월급루팡 일지
- 티스토리챌린지
- hbase 저장공간 설정
- formik
- LPOS
- intellij
- reids
- Ingress Controller Fake
- OIDC
- pinpoint
- ㅉ때
- 핀포인트
- 논블록킹 성능
- jsonMarshaller
- 노드간 통신
- fake jwt
- R2DBC Paging
- 플루터
- 개발 어렵당.ㅠ
- Today
- Total
목록개발이야기/오픈소스 설치 (54)
대머리개발자

똑같은 장애를 만나고 같은 고민을 한다. 해당 부분에 전문가가 아니면 더욱 그러하다. k8s를 사용하는 모든 곳에서 사용할것 같은데.. 생각보다 레퍼렌스가 많지 않다. https://github.com/grafana/loki/issues/8357 Logs retention doesn't work · Issue #8357 · grafana/loki Describe the bug Using a custom configuration I think the logs should be deleted after 1h, but they are always available To Reproduce I used the following configuration values for loki helm chart l... gi..

평일 평균적인 Request은 5분에 500Call 이고(약 142,034) 주말 평균은 5분에 1000Call 정도인데(약 220,012) 대략 1주일 동안 차지한 데이터 용량으로 전체 92%를 차지 하고 있었다....... 어제 봤을때 사용량이 39G였는데 4GB나 늘어 있었다. 지난 과거 데이터보단 실시간으로 보는데 의미가 있기때문에 쌓이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삭제하기로 혼자 결정ㅋ! ==> 오래된 데이터는 심플하게 로키로 보자 일단 잘은 모르겠지만 Request에 대한 정보는 Hbase에서 관리되는 것으로 보였고 Hbase 설정부터 확인하기 시작했다. 도커 컴퍼즈의 설정 파일을 확인해보니 관련 설정이 존재 했고 31536000(1년) -> 259200(3일)로 변경해서 재실행을 했다. AGENTIN..

게시판에 달려있는 첨부파일을 기능을 만들어야 한다.간단한 작업이지만 깊게 보자면 사실 고민할 포인트는 너무나도 많다. 1. 중복파일 관리2. 파일에 대한 접근관리(ACL)3. 파일 암호화 4. 심플한 아키텍쳐 일단 단순하게 파일 업/다운로드 부터 시작해 보자!.천리길도........... 네이버 클라우드를 사용하다 보니 전통(?)적인 방식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클라우드 환경에 맞게 우아(?)하게 생각s. 보통 b2b에서는 온-프라미스 방식으로 운영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하게 NAS나 SAN 이용한다.보통은 싼마이 NAS를 이용한다.물론 S3를 자체 구축해서 붙이는 CASE도 있었지만 일반적이지 않다. (XX정보통신에서 한 번 희귀한 경험을 해봤다) b2c에서의 환경은 대부분 클라우드 환경이다 보니 S..

서버가 동작하는 POD는 휘발성이다. 따라서 서버가 기동할 때 필요한 "외부 설정파일"을 접근 할 수 있는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물론 리소스에서 관련 파일들을 같이 배포해도 되나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접근 가능한 공간을 만들어야 된다. 첫번째 방안은 hostPath 볼륨이다. spec: volumes: - name: test-volume hostPath: # directory location on host path: /data # this field is optional type: DirectoryOrCreate containers: .... volumeMounts: - mountPath: /data name: test-volume hostPath 볼륨을 사용하면 파드가 쿠버네티스 노드의 파일 시스템..

https://github.com/pinpoint-apm/pinpoint/issues/7076 Add armeria plugin · Issue #7076 · pinpoint-apm/pinpoint Which module is your feature request related to? Plugin Is your feature request related to a problem? No Describe the solution you'd like Add line/armeria plugin github.com 이미 알고 있던 내용이였는데. 할때 마다 까묵고 삽질한다. 아르메리아를 적용하면 핀포인트 모니터링은 안 된다. 4개의 모듈(인증, 커뮤니티, 쿠폰, 강의)에서 두개의 모듈만 모니터링된다. 그이유는 인증과 쿠..

### 설치 완료 후 주저리 기술이 정말 빠르게 변하는것 같다.. 진짜..욕 나올 정도로..ㅅㅂ 핀포인트는 사실 서너번 "도커-컴퍼즈"를 이용해서 금방 설치를 했었다. 그래서 오늘 금방 끝날줄 알았다. 일단 쉽게 매니지드된 서비스를 이용해야 했었는데..... 현재 이용하기엔 버전이 낮았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핀포인트 에이전트 버전이 JDK13까지 지원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지금 현재 사용하고 있는 17버전은 호환성이....쥐쥐였다. 최신버전에 대한 일정도 물음표다. VM으로 제공하는 핀포인트 이미지 봤더니.. 더 오래된 버전이다. ㅠ.아오아오 매니지드된 서비스들도 기술을 팔로우하는게 힘든가 보다.... 오늘은 삽질의 기록이다. 삽질은 어느 특정 하나의 이슈보다는... 진짜 복합적으로 온다. 1...

APM은 유지보수 하는 입장에서 베프가 될수 밖에 없는 친구이다. 무조건 무조건이지.ㅎ 클라우드-핀포인트 서비스를 사용한다. 물론 설치도 금방 되지만 VM+공인IP 가격대비 가성비가 우리내 시스템하고는 나쁘지 않다. 굳굳! 에이전트 설치 방법 : 일단 첫번째 시도 폭망!! 이유는 볼륨을 만들 때 접근모드(accessModes)를 ReadWriteOnce로 했다. 접근모드를 수정하려고 봤더니.. 새롭게 만드는것이 베스트 프랙티스라 한다. 또 실패 ㅋ 접근모드가 nks-block-storage에서는 ReadOnlyMany를 지원하지 않는다. "nks-nas-csi"로 다시 시작 Tip) 테스트하면서 알아낸 특성인데 nks-block-storage 볼륨은 kubectl exec it 명령어를 통해서 내부 진입..

마지막 여정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보이지 않던 끝자락이 희미하게 보이기 시작한다. 내가 몇 번째 순서인지에 대한 체크를 setinterval을 통해 체크 할 수 있지만 서버에 부담이 될 수 있기때문에 좀 더 나은 방법이 있는지 확인 양방향 통신으로는 gRpc가 가장 먼저 생각이 났지만.. 브라우저에서 http2.0을 지원하지 않으니 Pass 소켓 통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모양세지만 Streaming 방식으로 채택하기로 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1. 소켓 통신을 적용하고 테스트하고 하는데 시간적 여유가 없다. 2. 반대로 이미 서버는 webFlux 형태로 되어 있어서 Streaming 쉽게 적용 가능하다. 3. N:N 통신의 형태가 아니라 거의 1:N 통신이기에 맞는 조건인 것 같다. 아르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