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IDC
- 애자일 싫타
- 논블록킹 성능
- 핀포인트
- ㅉ때
- pinpoint 2.5.3
- 월급루팡 일지
- LPOS
- 오블완
-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jsonMarshaller
- 티스토리챌린지
- Loki 로그
- Armeria
- hbase 저장공간 설정
- 7879
- intellij
- save/update
- R2DBC Paging
- jar 배포
- pinpoint
- 플루터
- nGinder
- reids
- RedirectService
- 노드간 통신
- Ingress Controller Fake
- fake jwt
- formik
- 개발 어렵당.ㅠ
- Today
- Total
목록개발이야기/개발툴 (9)
대머리개발자

샘플코드로 나오는 부분을 살짝 수정해서 테스트를 해보았다. @BeforeEach 시작전에 사이트를 열고 @Test 두 가지에 click에 대한 테스트 진행1. 최초 접속했을 때 열리는 팝업창 닫기 Event2. top-menu에서 첫번째 요소(메뉴) Event 너무 좋은디?? 최종 화면에 대한 스샷으로 마무의리 각 테스트 마다 열리는 화면에 대해서 스샷을 찍어도 괜찮은 선택지인 것 같고혹은 특정 이벤트(클릭) 이후 나오는 페이지 내부 특정 속성 여부로 판단 해도 되겠다. 테스트에 대한 시나리오만 잘 정리해서.. 반영 후 빠르게 전체 테스트가 가능할듯 하다!!.. 굳굳굳SS PS. 해당 툴을 이용하면.. 크롬다운로드 뭐시기 설정할 필요도 읎네!!

핵심은 셀레니움(Selenium)을 이용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것들은 자동으로 캬 이맛에 유료결제...하는것이쥬 별도의 셋팅이 필요 없다. 그냥 클릭질 몇 번에 끝난다.ㅏㅓSeleniumㄴㅁㅁㄴㄹㅇㅁㄴㅇㄹㄴㅁㅇㄹ심지어 테스트 결과를 이쁘게 볼 수 있는 Allure 프레임워크까지 샘플코드까지 체크 해주면 아무것도 몰라도..스삭 할 수 있다. 이제 셀레니움(Selenium)만 찌금 알면 될 듯 하다. 코드 보니 JSP 하던 시절 제이쿼리 생각이 나네.. 비슷할 듯..다 잊어버렸지만 ㅋ 비슷할 듯이 아니고.. 똑같네.오케이!!.. 가즈아!!

스타트업은 늘 부족하다. 모든것이 부족하다. 어쩔 수 없다.devOps....qa....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매번 반영할 때마다 예상하지 못 한 오류가 터지니깐.. 피곤s그렇타고 모든 것을 매번 테스트 할 수 없고 단순 API를 던져서 테스트 하는 것이라면 모든 API를 쭈욱 나래비 하면 되는것이다. 하지만 무의미하다고 판단했고 웹에 접속해서 한땀한땀 눌러보는 그런 테스트를 원했는다. (실제 하는 동작으로)그런 와중에 젯브레인에서 제공해주는 AQUA라는 녀석을 만났다. 이미 난 All Product Pack 이미 사용하고 있고.. 그냥 일단 써보자!

윈도우에서 wsl2 적용해서 하면 확실히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빨라 진다. 설정도 나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 사용자는 필수로 진행하면 좋을 듯 하다. 아래 블로그 참고하면 구성할 수 있다.https://10cheon00.github.io/posts/Intellij%EC%97%90%EC%84%9C-WSL2%EB%A1%9C-Spring-%ED%94%84%EB%A1%9C%EC%A0%9D%ED%8A%B8-%EB%8F%8C%EB%A6%AC%EA%B8%B0/ Intellij에서 WSL2로 Spring 프로젝트 돌리기서론 C에 설치한 인텔리제이로 WSL에 있는 프로젝트를 돌리려고 하니, 이런 에러가 뜨지 않나, 어찌어찌 Gradle import…10cheon00.github.io 80 포트의 사용은 별..

든든한 동반자이자 경쟁자이다. 무조건 의지하는 것이 아닌 양방향 교차 검증 차원에서 이용하면 Nice 코딩을 직접 만드는 것도 너무 좋지만 한계가 분명있다. 웰 메이든 된 코드를 많이 봐야 한다. 그래서 보통 쥬니어 친구는 솔루션 회사를 추천한다. ㅎㅎ; 뭐 암튼! 같은 리소스를 운영에 반영하면 메서드가 실행이 되지 않아서 질의를 했던 부분이다. 로컬에서 너무나도 잘 실행하는 친구가...운영환경(k8s)에서.. 먹통이다. @PostConstruct 해결책은 InitializingBean 상속 받아서 afterPropertiesSet() 구현하면 된다. AI 고맙다. 쉽게 해결했으야! 대에충 이유같지 않은 이유를 끄쩍여 보자면스프링(부트) 진영에서 나온 어노테이션이(@)이 아니다. 즉, 프레임워..

머물러 있으면 악취가 진동한다. 새로운 것을 즐겨보자 ㅎㅎ welcome home : vim online www.vim.org 리눅스 접근해서 텍스트나 프로퍼티등을 vi로 오픈할 때 사용되는 편집기(?)이다. 터미널을 통해서 접근하기 때문에 우리는 오롯이 키보드에만 의존하다. 이 말은 즉슨 마우스 없이 편집할 수 있도록 최대한 디자인된 편집기라는 거다. ㅎ 처음에는 진짜 어색하다... 빗대어 보자면 해피해킹을 처음 사용할 때와 같은 느낌이다. 해피해킹과 VIM을 같이 사용해 보니 오른속 새끼 손가락의 조금은 편해졌다. FN 조합으로 방향키를 사용하는 거 대신해서 단순 HJKL로 이동하니 확실히 나의 새끼 손가락은 평온을 찾았다. 물론 편집모드에서는 역시나 방향키를 사용은 하지만 해피해킹과 VIM 조합은 ..

하나의 툴에 모든것을 활용한다면 심리스하게 모든것을 처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합!! 그런면에서 인텔리제이는 너무나도 나이스!!! 그리고 뜻밖에 기능을 알게 되었다. 운영의 로그에서 예외를 클릭했더니 해당 라인을 짚어 준다. 굳굳굳!!굳! 와우!!! 정말s 인텔리 하다잉!!

개발을 더욱 잘(?) 하려면 도구를 스마트하게 이용해야 한다. 사람의 손을 조금 덜타게 해야 휴먼 에러도 없고!!!. 내가 편하다. 서버 API를 기본적으로 단위테스트(Junit)를 통해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 포스트맨 팀워크스페이스로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 되어 있어서 협업하기 너무너무 좋은듯 하다. But 가격 쥐쥐 모든 API 목록을 공유하고 있다면 내가 직접 개발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쉽게 재현을 할 수 있고 디버깅을 할 수 있어 편하게 이슈에 접근 할 수 있다. 관련 API 마다 에디터가 탑재되어 있고, 댓글도 작성할 수 있어 설명을 잘 작성해 둔다면 !! 굿굿! 혼자 개발할때는 인텔리제이에 내장되어 있는 툴에서 해결 할 수 있다.. 하나의 툴에서 해결 한다는 것은 대단한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