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머리개발자

윈도우 vs wsl2 빌드 vs Mac vs 우분투 본문

개발이야기/개발툴

윈도우 vs wsl2 빌드 vs Mac vs 우분투

대머리개발자 2024. 12. 3. 14:58
728x90

윈도우에서 wsl2 적용해서 하면 확실히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빨라 진다. 

설정도 나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 사용자는 필수로 진행하면 좋을 듯 하다.

윈도우!!

 

 

아래 블로그 참고하면 구성할 수 있다.

https://10cheon00.github.io/posts/Intellij%EC%97%90%EC%84%9C-WSL2%EB%A1%9C-Spring-%ED%94%84%EB%A1%9C%EC%A0%9D%ED%8A%B8-%EB%8F%8C%EB%A6%AC%EA%B8%B0/

 

Intellij에서 WSL2로 Spring 프로젝트 돌리기

서론 C에 설치한 인텔리제이로 WSL에 있는 프로젝트를 돌리려고 하니, 이런 에러가 뜨지 않나, 어찌어찌 Gradle import…

10cheon00.github.io

 

80 포트의 사용은 별도 설정이 필요하나 어차피 로컬 환경이니깐 그냥 8080으로 변경해서 빌드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터미널 접속도 우분투s

 

wsl2의 개념은 간단하게 대신 연산해주고 결과값만 돌려주는.. 클라우딩 컴퓨팅이라고 보인다. 나름..

 

기본적으로 슈퍼슈퍼컴퓨팅은 많이 비싸다... 그래서 자체 단말기(컴퓨타)에서 연산하는 것이 아니라 오래 걸리는 연산들을 슈퍼컴에 맡기고 리턴값만 받아오는 것이.. 네트워크 레이턴시를 뺀다고 하더라도 우리에게 이득이다.

 

예를들어 로컬에서 하면 10초 걸리는 것을 슈퍼컴(wsl2)이 3초만에 해결하고 리턴을 해주면

아무리 미국에서 온다고 해도 네트워크 레이턴시 보다 이득이다.

 

즉, 실제 동작은 wsl2에 설치된 우분투에서 다 진행하고.. 리턴값을 인텔리제이에... 뿌리는 거다(?)

윈도우 빌드보다 리눅스에서 빌드가 빠르기 때문이다.

 

여러모로..개이득!!

 

살짝 아쉬운점이...한글에 대한....부자연스러움이 있고 UI/UX가 매끄럽지 못하다.

이 부자연스러움 때문에.. 이것저것 해보다가...

윈도우 인텔리제이 환경에 리소스만 wsl2 우분투 접근해서 하는 것도 시도 해봤는데 잘 된다.

이렇게만 이용하더라도.. 조금의 향상은 느껴진다.

 

결론!!데스크탑 사양 :  i5-12600K  + 32GB

윈도우 환경 =>            5.3s

윈도우 환경 + 리소스만 우분투 접근 =>  4.6     (신기방기)

윈도우 + (우분투 wsl2) => 4.4초

맥미니 M1 => 4.8초

only 우분투 => 3.4초

 

집에 있는 맥미니 M1

맥미니

 

맥미니(M1)가 ㅋㅋ 데탑+윈도우 조합을 씹어 먹는구만....왜 그렇게 맥맥 거리는지..

 

하지만 이제는 맥맥 거릴필요 없다.

데탑 + 우분투 조합이 최고의 성능을 보여준다ㅎㅎ 3.4초

우분투

 

 

728x90

'개발이야기 > 개발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QUA-자동화 테스트(2)  (1) 2024.12.26
AQUA-자동화 테스트(1)  (1) 2024.12.26
개발함에 있어 AI를 쓰고 안 쓰고는 분명 차이는 있다.  (2) 2024.07.24
Vim with 해피해킹  (0) 2023.12.13
IntelliJ SSH Session  (1) 202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