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rmeria
- OIDC
- hbase 저장공간 설정
- LPOS
- save/update
- 7879
- 논블록킹 성능
- ㅉ때
- 개발 어렵당.ㅠ
- pinpoint
- 월급루팡 일지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Ingress Controller Fake
- 핀포인트
- fake jwt
- R2DBC Paging
- formik
- intellij
- reids
- RedirectService
-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노드간 통신
- jar 배포
- Loki 로그
- nGinder
- jsonMarshaller
- pinpoint 2.5.3
- 플루터
- 애자일 싫타
- Today
- Total
목록개발이야기/오픈소스 설치 (54)
대머리개발자

스프링 부트로 프로젝트를 전환하면서 메이븐에 적용했던 것들을 그래들로 전환하고 있다. 레퍼런스가 생각보다 많지 않아서 도온나 삽질을 해야 한다. 안습이다.ㅠ 1. exec-maven-plugin ==> 그래들 2. maven-dependency-plugin ==> 그래들 삽질의 시간이 있었다. 첫번째 삽질은 해당 기능의 플러그인을 계속적으로 찾았다. --> 없다. ㅋㅋ 해서 그래들 기능을 가지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그래들을 공부했다. ㅅㅂ 행복한 시간이였다. copy 기능을 통해서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외 디펜더시는 자동으로 후딱!

nginder를 통해서 부하를 주면 웹 요청이 잘오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웹 화면을 통해서 메뉴 하나씩 클릭하면 웹 요청이 오지 않는다. 개발자의 답변처럼 충분한 요청을 하지 않아서 샘플링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에이전트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pinpoint.config 열어서 보면 샘플링 비율이 기본값 20으로 설정되어 있다. 해당 값을 1로 변경해야 한다. profiler.sampling.rate=20 1로 변경하는 의미는 요청에 대한 100%로 샘플링을 한다는 의미이다. 핀포인트 재기동 후 사용자 웹 요청에 대해서도 모든 값들이 샘플링 된다. 야호

성능 테스트를 ngrinder와 pinpoint를 이용해서 진행하고 있다. 너무나 좋은 친구들을 그것도 무료로...ㅜ_ㅜ 선배 개발자님들 감사합니다.(__) 3대의 에이전트 환경에서 테스트한 결과 (500 *3) 개똥 같은 Response가 나와 버렸다. 절반 이상의 응답이 3초를 초과해버렸다. 조금 더 유연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해 로컬 환경에 스크립트(그루비) 작업 환경을 구성하고자 했다. 문제의 시발점...이 시발! 그냥 단순 웹을 통해서 작성할걸.... GG 일단 로컬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 Search를 시작! 이단 gradle 이용해서 쉽게 구성할 수 있겠다 싶어 gradle 프로젝트로 자바 환경 구성 gradle 대박......와!!! 마치 이클립스를 쓰다 인텔리제이를 넘어갔을 때..
핀포인트 설치해 보기 위해서 우분투를 구축하였다. 심심풀이 땅콩~ CentOS와 마찬가지로 명령어만 다를 뿐이지 일맥 사옹하다. 1. 사전 준비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software-properties-common 2. 패키지 저장소 추가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apt-key add - sudo add-apt-repository "deb [arch=amd64]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bionic stable" sudo apt update 3. 도커CE 설치 ..

핀포인트(2.1.0) 설치 과정. Let's go CentOS에 설치하기 전에 윈도우에 설치하면서 대략적으로 감을 잡고 있는 도중 도커를 통해서 하면 좋지 않을까 해 도커를 찾아보니.. 띠용!! 아니나 다를까 감사힙니다. VM에 CentOS 7에 설치되어 있어 바로 진행하였다. docker와 docker-compose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전 글을 참고하자. 핀포인트의 구성에 대한 부분은 이미 알겠거니.. Just Skip. 사실 나도 잘 모른다. 자세한 내용은 => Pinpoint | Leading Open-Source APM (pinpoint-apm.github.io) 본론으로 바로 구축 시작해보자. 실제 3 단계 뿐이다. # Pinpoint 서버 구축 1. git을 통해 바로 다운 받는다. git c..
Docker Install 1. 도커를 사용하기 위한 요구 조건 설치 yum install yum-utils device-mapper-persistent-data lvm2 2.저장소 추가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3.도커 설치 yum-install -y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Docker-compose Install 1.설치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1.27.4/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