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ngress Controller Fake
- jsonMarshaller
- 노드간 통신
- R2DBC Paging
- RedirectService
- hbase 저장공간 설정
- 핀포인트
- intellij
- 티스토리챌린지
- nGinder
-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OIDC
- 7879
- Loki 로그
- pinpoint 2.5.3
- 월급루팡 일지
- save/update
- fake jwt
- Armeria
- 논블록킹 성능
- 오블완
- jar 배포
- formik
- ㅉ때
- 개발 어렵당.ㅠ
- pinpoint
- LPOS
- reids
- 플루터
- 애자일 싫타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40)
대머리개발자

콘텐츠를 등록하고 해당 콘텐츠 내용을 쉽게 검색하기 위해서 solr 색인을 진행한다. 반년이상을 이슈 없이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특정 날자의 색인이 이상하게 되었다.특정날자 : 2024년 12월 29/30/31일에 등록된 데이터만 1년이 ADD 되어서 색인 실제 DB값은 정상적이었기 때문에 색인을 할때 이슈가 발생된 부분이라고 생각을 했다. 등록날짜를 색인을 위해 Formatter...// 실제 적용 코드doc.addField(Constants.REG_DT, this.regDt!!.format(Utils.getDateTimeFormatter()))...fun getDateTimeFormatter(): DateTimeFormatter{ return DateTimeFormatter.ofPattern("YY..

샘플코드로 나오는 부분을 살짝 수정해서 테스트를 해보았다. @BeforeEach 시작전에 사이트를 열고 @Test 두 가지에 click에 대한 테스트 진행1. 최초 접속했을 때 열리는 팝업창 닫기 Event2. top-menu에서 첫번째 요소(메뉴) Event 너무 좋은디?? 최종 화면에 대한 스샷으로 마무의리 각 테스트 마다 열리는 화면에 대해서 스샷을 찍어도 괜찮은 선택지인 것 같고혹은 특정 이벤트(클릭) 이후 나오는 페이지 내부 특정 속성 여부로 판단 해도 되겠다. 테스트에 대한 시나리오만 잘 정리해서.. 반영 후 빠르게 전체 테스트가 가능할듯 하다!!.. 굳굳굳SS PS. 해당 툴을 이용하면.. 크롬다운로드 뭐시기 설정할 필요도 읎네!!

핵심은 셀레니움(Selenium)을 이용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것들은 자동으로 캬 이맛에 유료결제...하는것이쥬 별도의 셋팅이 필요 없다. 그냥 클릭질 몇 번에 끝난다.ㅏㅓSeleniumㄴㅁㅁㄴㄹㅇㅁㄴㅇㄹㄴㅁㅇㄹ심지어 테스트 결과를 이쁘게 볼 수 있는 Allure 프레임워크까지 샘플코드까지 체크 해주면 아무것도 몰라도..스삭 할 수 있다. 이제 셀레니움(Selenium)만 찌금 알면 될 듯 하다. 코드 보니 JSP 하던 시절 제이쿼리 생각이 나네.. 비슷할 듯..다 잊어버렸지만 ㅋ 비슷할 듯이 아니고.. 똑같네.오케이!!.. 가즈아!!

스타트업은 늘 부족하다. 모든것이 부족하다. 어쩔 수 없다.devOps....qa....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매번 반영할 때마다 예상하지 못 한 오류가 터지니깐.. 피곤s그렇타고 모든 것을 매번 테스트 할 수 없고 단순 API를 던져서 테스트 하는 것이라면 모든 API를 쭈욱 나래비 하면 되는것이다. 하지만 무의미하다고 판단했고 웹에 접속해서 한땀한땀 눌러보는 그런 테스트를 원했는다. (실제 하는 동작으로)그런 와중에 젯브레인에서 제공해주는 AQUA라는 녀석을 만났다. 이미 난 All Product Pack 이미 사용하고 있고.. 그냥 일단 써보자!

윈도우에서 wsl2 적용해서 하면 확실히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빨라 진다. 설정도 나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 사용자는 필수로 진행하면 좋을 듯 하다. 아래 블로그 참고하면 구성할 수 있다.https://10cheon00.github.io/posts/Intellij%EC%97%90%EC%84%9C-WSL2%EB%A1%9C-Spring-%ED%94%84%EB%A1%9C%EC%A0%9D%ED%8A%B8-%EB%8F%8C%EB%A6%AC%EA%B8%B0/ Intellij에서 WSL2로 Spring 프로젝트 돌리기서론 C에 설치한 인텔리제이로 WSL에 있는 프로젝트를 돌리려고 하니, 이런 에러가 뜨지 않나, 어찌어찌 Gradle import…10cheon00.github.io 80 포트의 사용은 별..

자세한 내용은 해당 블로그에 확인한다. 너무나도 잘 기록되어있다. ㄳhttps://zuminternet.github.io/FCM-PUSH/ FCM 푸시 파헤치기파일럿부터 적용까지 진행했던 FCM 푸시를 파헤치며 기초 가이드북처럼 정리해보았습니다.zuminternet.github.io 그럼에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PUB / SUB 개념과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공급자(Publisher)는 메세지를 만들어는 내는 우리가 되는 것이고메세지를 소비하는 사용자는 구독자(Subscriber), 즉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급자에 대한 설정과 구독자에 대한 설정을 해야 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공급자(서버) 설정이 쉽다. 1. 프로젝트 대충 만든다.2. 프로젝트 설정 -> 서비스 계정으로 접근한다.3. ..
지나가는 스트림, 즉 흘러가고 있는 데이터의 물결에서 어떤 가공을 하려면 ? 1년동안 주구장창 쓰고 있는데도..아.. 잘 모르고 쓰고 있구나 싶어서 다시 한번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고민을 시작했다. 사실 이부분은 프레임워크의 순 기능이다.내부적인 동작은 잘 몰라도 그냥 가져다 쓰면 그저 잘 나온다. 암튼.. ㅋ 아래의 코드를 보자Mono.just(1).flatMap( it -> Mono.just( it + 2)).subscribe(System.out::println);Mono.just(1).map( it -> it + 2).subscribe(System.out::println); 동일한 결과를 나오지만.적절하게 언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매순간 고민하고 머리 빠지고 해야 한다. 그런점에서 미리 고민하..
사용자를 관리하는 모듈(서버)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사용자 정보가 현재 동떨어져 있다. (독립적이다. -> 나름 MSA ) 접근하기 위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API를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하나의 정보가 아닌 목록에 표현되는 정보라면 API호출은 성능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목록 Row 만큼 호출하는 것은 초딩이 봐도 아닌것을 금방 눈치 챌 수 있다.) 두가지 방법이 있는듯 한다. 1. DB View 제공해 Join해서 처리2. 해당 CASE의 경우 노출되는 정보를 같이 저장한다.3. 목록(리스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한 번의 API로 처리 각각의 장 단점이 있다. -> 현재 게시판 모듈에서 2번으로 처리하고 있다.게시판의 목록에서 닉네임을 보여주고 있는데 해당 정보를 게시판에 등록할 때 같이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