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7879
- formik
- Loki 로그
- 개발 어렵당.ㅠ
- 티스토리챌린지
-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LPOS
- 논블록킹 성능
- save/update
- hbase 저장공간 설정
- RedirectService
- nGinder
- intellij
- 플루터
- 애자일 싫타
- 오블완
- 핀포인트
- Ingress Controller Fake
- 노드간 통신
- reids
- ㅉ때
- pinpoint
- R2DBC Paging
- OIDC
- Armeria
- pinpoint 2.5.3
- fake jwt
- jsonMarshaller
- 월급루팡 일지
- jar 배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41)
대머리개발자

늘 예외에 출력되는 이야기는 귀 기울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삽질의 늪에서 헤어 나올 수 없다. ㅎㅎ "content-type" 을 허용하지 않아서 정찰병이 실패 했다. ㅠㅠ 해당 문제의 원인은 allow를 하긴 했지만 *(asterisk) 설정이 먹통이다. 해서 일단 content-type만 넣어서 테스트 해 봤더니 정상 OK!! 나오는 오류 로그를 유심히 잘 보자.. ㅎ 삽질의 시간을 단축해준다. ㅠ

일단 아르메리아가...핀포인트에 요청이 정상적으로 집계되지 않아서... ㅠ 단순 스프링으로 전환해서 진행하였다. (이것도 일이다. ㅡㅡㅎ) 아오!!! 일단 이미 결과를 리포팅 했지만 이제서야 글을 정리한다 진정 하는것 없이 바쁘다 논-블록킹으로 처리 되는 서비스에서만 유용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좋은 것이 아니다... 오히려 블록킹이되는 코드가 있으면 역효과가 날 수 있기 때문에..무조건적으로 도입할 이유는 없다. 두가지 케이스가 같은 response을 주긴 하지만 1. webMvc는 스프링 시큐리티에서 제공해 주는 Oauth를 이용하였고 2. webFlux는 딱 원하는 기능만 자체 개발했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애매 하긴 하지만 우리가 얼마나 웰메이드 된 친구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었는지 증거가 될 수 있기..

하나의 툴에 모든것을 활용한다면 심리스하게 모든것을 처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합!! 그런면에서 인텔리제이는 너무나도 나이스!!! 그리고 뜻밖에 기능을 알게 되었다. 운영의 로그에서 예외를 클릭했더니 해당 라인을 짚어 준다. 굳굳굳!!굳! 와우!!! 정말s 인텔리 하다잉!!

뭔가 할 것이 있다는 것은 삶의 활력이다 ㅎㅎ재미지다 유용한 패키지 관리자!! https://brew.sh/index_ko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루트 계정이 아닌 사용자 계정으로 설치를 한다. 설치가 진행한 후 brew명렁어를 날려 봤더니.....중간에 빨깐줄이.. 깨림직했다. zsh: command not found: brew 뭐든 편하게 되면 인생이 아니제~ Warning in your PATH....왜 슬픈예감은.. 뭐든 알아서 척척..

## azure vault 란? 비밀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사용하기 위한 애저 서비스!! 보통의 경우 아래와 같이 리소스(프로퍼티)에 사용자 계정 / 비밀번호, 접속 주소 등이 그대로 노출이 된다. 따라서 Git이 털리게 되면 모든 것이 노출이 되는 것이다. 프로퍼터를 안전하게 하는 방식들이 존재한다. 상황에 맞게 적용하면 된다. 1. org.jasypt를 이용 https://ktko.tistory.com/entry/Spring-properties암호화 2. 애저 vault 이용 https://learn.microsoft.com/ko-kr/azure/developer/java/spring-framework/configure-spring-boot-starter-java-app-with-azure-key-va..
하루에 한 두개씩만 익혀도 좋겠다. 인텔리제이 처음 사용할 때도 모든 면이 압도적으로 좋았지만 한 가지 흠이라면 익숙하지 않는 단축키 정도.. 맥을 쓰는 지금 비슷한 느낌이다. ㅎ 맥에선 Command 라는 키가 있어 인텔리제이 조합을 더 많이 쉽게 만들수가 있어서 조으다!! 전반적으로 최대한 마우스에 손이 안가고 사용할 수 있도록 단축키가 많은 것 같다. 하악하악 Control + Command + F 창 최대화 Command + space bar Spotight Shift + Command + 5 스크린 샷 Command + option + d Dock을 보거나 가립니다. Command + option + esc 강제 종료 Command + option + ← → 응용프로그램 내 탭 전환 Comman..
로컬에서는 마리아DB로 구성을 해서 테스트 진행 But 운영는 mysql을 사용한다. 해서 MYSQL에 맞는 R2DBC 찾았다.(https://r2dbc.io/drivers/) R2DBC R2DBC 0.8.1.RELEASE: A standard API for reactive programming using SQL databases. r2dbc.io 근데 마리아DB는 공식적으로 지원해 주는 라이브러리 있고 mysql 비공식적(?)으로 지원 해주는 라이브러리만 있다. 비공시적으로 지원해주는 친구들이 뭔가 깨름직. 마리아가 MYSQL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능에 있어 마리아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도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테스트 진행했다. r2dbc: url: r2dbc:mariadb://..